본문 바로가기
건강

고압산소케어, 보험 적용 대상 질환 총정리… 치료 목적 아니라면 비급여입니다

by jinjjaroo1 2025. 7. 24.
반응형

고압산소케어, 보험 적용 대상 질환 총정리… 치료 목적 아니라면 비급여입니다

일산화탄소 중독부터 돌발성 난청까지, 고압산소치료가 인정받는 질환은 따로 있습니다

고압산소케어는 단순한 피로회복, 미용 목적뿐 아니라 중증 질환 치료에도 폭넓게 사용됩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보험 적용 여부는 치료 목적과 해당 질환의 의학적 근거, 적응증 판단에 따라 결정되며, 이를 잘 모르면 전액 비급여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압산소치료의 건강보험 적용 질환과 미적용 항목을 명확히 구분하여 안내드립니다.

보험 적용 가능 주요 질환, 응급성과 난치성 여부가 기준입니다

질환 유형 적용 질환 주요 예시

급성 응급질환 일산화탄소 중독, 감압병(잠수병), 가스색전증, 시안화물 중독, 중심 망막 동맥폐쇄, 혐기성 세균 감염, 과다출혈로 인한 수혈불가 빈혈 의식저하, 호흡장애, 실신 등
난치성 만성질환 당뇨발(족부궤양), 난치성 골수염, 버거씨병, 방사선 괴사, 화상, 식피술·수지접합술 후 창상치료 염증·괴사 부위 치유 목적
이비인후·신경계 질환 돌발성 난청(초기 80dB 이하), 재발성 이명, 일부 뇌졸중 관련 손상 이명 동반 난청, 뇌손상 회복 목적

이처럼 치료 적응증이 명확하고
의학적 근거가 뚜렷한 경우에 한해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됩니다.


미용, 컨디션 회복 목적이라면 전액 비급여

다음과 같은 목적은 건강보험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미적용 대상 예시

피로·컨디션 관리 스포츠 회복, 면역력 강화, 스트레스 해소
피부·항노화 목적 주름 개선, 피부탄력 유지
신경계 기능 개선(비인정 항목) 치매, 혈액순환 장애, 만성 두통, 어지럼증
뇌질환 회복 보조 뇌경색, 알츠하이머 (연구 단계)

의료기록이 없는 단순 피로나 미용 목적이라면
전액 비급여로 처리되며,
건강보험 적용은 절대 불가합니다.


대표 적용 병원은 어디일까?

고압산소치료를 건강보험 급여로 받을 수 있는
대표적 병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 대표 병원

서울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
부산 부산대병원, 해운대백병원
대전·광주 등 충남대병원, 전남대병원
전국 기타 고압산소 전문치료 클리닉 (대형병원 중심)

진료과는 응급의학과, 이비인후과, 재활의학과, 감염내과 등이며
입원 상태이거나 진단서가 있는 경우
보험 적용률이 높습니다.


보험 적용의 핵심: 질환 적응증 + 치료 목적 명확성

건강보험 적용을 받으려면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필요조건 설명

의학적 적응증 고압산소치료의 효과가 입증된 질환에 한함
급성 또는 난치 질환 여부 단순 증상보다는 질병 진단 필요
의료진 소견서 적응증 명기된 진단서·처방전 필수
횟수 제한 내 사용 질환당 보통 10~14회 제한 (의학적 사유 시 연장 가능)

치료 전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병원에
급여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막을 수 있습니다.


요약: 고압산소케어, 이럴 때만 건강보험 적용됩니다

적용 여부 주요 기준

보험 적용 일산화탄소 중독, 잠수병, 돌발성 난청, 당뇨발, 골수염 등
보험 미적용 피부미용, 피로회복, 치매예방, 항노화 등 건강관리 목적
주의사항 병원별 기준 상이, 치료 전 진단서·소견서 확인 필수

보험 적용 여부는 단순 증상이 아닌
‘진단명’과 ‘의학적 근거’에 따라 다르므로
모든 고압산소케어가 건강보험 대상인 것은 아닙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