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무기력해지고 어지럽다면 더위를 먹은 걸까요?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여름철에는 단순히 피로한 걸 넘어서 ‘온열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른바 더위를 먹었다고 표현하는 상태는 일사병, 열탈진, 열사병 등의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본 글에서는 더위를 먹었을 때의 주요 증상과 위험 신호, 대처법, 예방 팁까지 빠짐없이 알려드리겠습니다. 특히 고온다습한 환경에 오래 머물렀다면 절대 가볍게 넘기지 마시고 빠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더위를 먹었을 때 나타나는 초기 증상
더위에 오래 노출되면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은 피로감, 무기력, 식욕 저하입니다.
두통이나 어지러움이 동반되며, 피부는 축축하고 땀이 많이 나기 시작합니다.
이 시점에서 수분과 전해질 보충, 시원한 곳으로의 이동이 핵심입니다.
열사병으로 악화되면 생기는 위급 신호
더 심각한 열사병으로 진행되면 땀이 멈추고 피부는 뜨겁고 건조해집니다.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급격히 오르고, 정신이 혼미하거나 발작, 경련이 올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생명이 위독해질 수 있으므로 즉시 119를 불러야 합니다.
가정에서 가능한 응급 대처법
초기 더위 증상일 경우에는 신속한 조치로 충분히 회복이 가능합니다.
그늘이나 실내로 이동 후, 물수건이나 선풍기로 체온을 낮춰야 합니다.
이온음료나 소금을 탄 미지근한 물을 조금씩 자주 섭취하면 좋습니다.
의식이 없거나 구토 중일 때는 절대 물을 억지로 먹이지 말기
위험한 상태에서는 삼킴 반사가 둔화되어 기도가 막힐 수 있습니다.
의식이 흐려지거나 발작이 있는 경우 즉시 응급실로 이송해야 합니다.
119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차가운 물수건으로 몸을 닦으며 기다립니다.
온열질환 예방에 좋은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
무더운 날에는 수박, 오이, 미음 등 수분 많은 음식을 자주 섭취하세요.
과도한 지방 음식, 알코올, 짠 음식은 체온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어 피해야 합니다.
전해질 보충용 이온음료는 하루 1~2병 정도 섭취하면 효과적입니다.
좋은 음식 피해야 할 음식
수박, 미음, 오이 | 튀김, 고기, 술 |
이온음료, 소금물 | 매운 음식, 탄산음료 |
가장 중요한 예방 수칙 다섯 가지
더위를 피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환경 관리와 일정 조절입니다.
특히 낮 12시에서 오후 5시까지의 야외 활동은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헐렁하고 밝은 색 옷을 입고, 챙이 넓은 모자나 양산을 활용하면 체온 상승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방법 설명
낮시간 야외활동 자제 | 햇볕이 가장 강한 시간 피하기 |
물 자주 마시기 | 30분마다 한 잔씩 수분 섭취 |
밝고 통풍되는 옷 입기 | 땀 배출과 체온 조절에 유리 |
양산, 모자 활용하기 | 자외선과 열 차단에 효과적 |
무리하지 않기 | 무더위에 운동이나 장시간 노출 피하기 |
이런 상황에서는 꼭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더위 증상이 하루 이상 지속되거나, 체온이 38도 이상으로 오르는 경우
심한 구토, 식사 거부, 경련이 동반되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특히 고령자, 어린이, 만성질환자라면 빠른 시간 내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더위 대처 습관 만들기
매일 기온을 체크하고, 일기예보에 따라 일정 조절을 하세요.
장시간 외출 시에는 꼭 물병과 이온음료를 챙기고, 신체 이상을 느끼면
즉시 쉬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단순한 피로라고 넘기지 마세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 환자에게 바나나보다 블루베리가 더 좋은 이유 (1) | 2025.07.25 |
---|---|
협심증, 증상부터 생활관리까지 전부 정리한 50대 이후 필독 건강 가이드 (1) | 2025.07.25 |
장염에 좋은 음식 총정리, 회복을 빠르게 돕는 식단 팁 (0) | 2025.07.24 |
고압산소케어, 보험 적용 대상 질환 총정리… 치료 목적 아니라면 비급여입니다 (1) | 2025.07.24 |
고압산소케어 비용, 보험 적용 여부에 따라 최대 10배 차이 납니다 (1) | 202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