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중 가슴이 조여오신다면, 협심증을 의심해 보셨나요?
운동 후 가슴 통증은 단순 근육통일 수 있지만, 반복되거나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라면 심장 문제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특히 협심증은 운동 시 심장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 생기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놓치면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협심증과 운동 후 가슴 통증의 연관성, 주요 증상, 대처 방법 등을 꼼꼼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협심증, 운동 중 통증으로 나타난다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면서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생기는 병입니다.
심장이 많이 움직일 때, 특히 운동 중에는 산소 수요가 늘어나기에
이때 통증이 주로 발생합니다.
가슴을 조이는 듯한 압박감,
왼쪽 어깨나 팔, 턱, 목으로 퍼지는 통증은
전형적인 협심증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운동 후 5~10분 지속, 쉬면 가라앉는다? 전형적인 안정형 협심증
안정형 협심증은 특정 상황에서만 발생하며
운동을 멈추면 곧 사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통증은 대부분 10분 이내이며 니트로글리세린에도 반응합니다.
아래 표는 안정형과 불안정형 협심증의 주요 차이입니다.
구분 안정형 협심증 불안정형 협심증
유발 요인 | 운동, 계단 오르기 | 휴식 중, 가벼운 활동 |
통증 지속시간 | 5~10분 | 10~30분 이상 |
통증 완화 | 휴식, 약 복용 시 호전 | 휴식·약물에도 반응 부족 |
가슴 외에도 방사통이 있다면 더 주의해야
협심증의 통증은 단순히 가슴 부위만 아픈 것이 아닙니다.
목, 턱, 어깨, 왼팔까지 퍼지는 통증이 동반된다면
심장에서 기인한 통증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운동 중 숨이 가빠지거나 식은땀이 흐르고,
어지럼증이 느껴지는 경우, 즉각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불안정형 협심증’은 예고 없이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처음엔 운동 후만 발생하던 통증이
이제는 평소에도 자주 반복된다면, 상태가 악화된 것입니다.
이런 양상은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곧 심근경색으로 진행될 수 있는 위험한 경고입니다.
통증 빈도가 늘어나거나 강도가 강해졌다면,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20분 이상 지속되는 통증이라면 심근경색 가능성
심장 통증이 20~30분 이상 지속되거나
니트로글리세린에도 반응이 없다면
급성 심근경색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다음 조건에 해당하면 즉시 119를 불러야 합니다.
주요 증상 응급성 여부
30분 이상 통증 | 고위험 |
땀이 비 오듯 흐름 | 고위험 |
통증이 점점 강해짐 | 고위험 |
호흡 곤란 및 현기증 | 고위험 |
운동 후 통증 있다면, 진단이 최우선입니다
단 한 번의 통증이라도 반복된다면
병원을 방문해 심장 전문 검사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1차로는 병력 청취, 심전도, 심초음파를 시행하며
필요시 운동부하검사 또는 관상동맥 조영술도 진행합니다.
아래는 진단 절차 예시입니다.
검사 항목 설명
심전도 | 심장 리듬 이상 확인 |
심장 초음파 | 구조적 이상 확인 |
운동부하검사 | 운동 시 통증 재현 여부 평가 |
조영술 | 관상동맥 협착 여부 확인 |
협심증은 조기 발견이 생명선입니다
협심증은 진단과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핵심입니다.
조기 진단 시 약물 치료나 시술로도
심근경색이나 급사 등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통증이 반복된다면 단순 근육통으로 치부하지 마시고,
반드시 진료를 통해 원인을 밝혀야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자기 일어설 때 핑 도는 이유, 기립성 저혈압일 수 있습니다 (2) | 2025.07.23 |
---|---|
가슴 통증, 단순한 통증일까? 심근경색 신호는 이렇게 옵니다 (0) | 2025.07.23 |
정확하고 안전한 심장 검사, 심장초음파의 모든 것 (0) | 2025.07.22 |
협심증과 심근경색, 어떻게 다를까? 갑자기 시작되는 가슴통증의 진실 (0) | 2025.07.22 |
당뇨와 과일: 섭취량과 혈당 반응의 과학적 관계 (0) | 2025.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