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의 엔진, 심장은 어떻게 움직일까?
심장은 매 순간 쉬지 않고 뛰며 우리 몸에 혈액을 공급하는 펌프 역할을 합니다.
이 복잡한 활동은 수축기와 이완기라는 두 가지 주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주기의 조화가 무너지면 심장질환이나 혈압 이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심장박동의 메커니즘과 수축기, 이완기의 정확한 역할,
그리고 건강한 심장을 위한 필수 지식을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심장의 구조부터 알아보자
심장은 좌심방, 좌심실, 우심방, 우심실 네 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방들이 일정한 리듬으로 수축하고 이완하면서 혈액을 온몸에 내보냅니다.
심장은 폐를 통해 산소를 받은 피를 온몸으로, 다시 산소를 소모한 피를 폐로 보내는
두 가지 경로를 동시에 수행하는 정교한 장기입니다.
수축기란 무엇일까?
수축기는 심장근육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심실에서 대동맥과 폐동맥으로
내보내는 시기를 말합니다. 이 과정은 심장이 힘을 모아 피를 밀어내는 순간이며,
가장 강한 박동이 느껴지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이때 측정되는 혈압을 ‘최고혈압’이라고 부릅니다.
건강한 사람의 수축기 혈압은 보통 90~120mmHg입니다.
이완기란 무엇일까?
이완기는 수축이 끝난 뒤 심장이 다시 이완되면서 혈액을 받아들이는 단계입니다.
심장근육이 힘을 풀고, 심방과 심실이 다시 혈액으로 채워지는 중요한 시간입니다.
이때 측정되는 혈압은 ‘최저혈압’이며, 정상 범위는 60~80mmHg입니다.
이완기가 불완전하면 심장이 제대로 쉴 수 없어 심부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수축기와 이완기의 차이, 표로 정리해 보자
구분 수축기 이완기
정의 | 심장이 혈액을 내보내는 시기 |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시기 |
혈압 기준 | 최고혈압 (90~120mmHg) | 최저혈압 (60~80mmHg) |
주요 작용 | 혈액을 동맥으로 밀어냄 | 혈액을 심장으로 받아들임 |
심장박동은 어떻게 조절될까?
심장에는 ‘동방결절’이라는 작은 조직이 내장된 전기 신호 발생기 역할을 합니다.
이곳에서 만들어진 전기 신호는 심방과 심실로 전달되며, 수축기와 이완기의 리듬을
정확하게 조절합니다. 이 리듬은 자율신경계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되며,
운동이나 스트레스, 감정 변화에 따라 박동수가 변하게 됩니다.
수축기, 이완기의 균형이 깨질 때 생기는 문제들
수축기 혈압이 높으면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 위험이 높아지며
이완기 혈압이 낮으면 장기 혈액 공급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노인의 경우 수축기만 높고 이완기는 정상인 ‘고립 수축기 고혈압’도 많아
정기적인 혈압 측정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혈압 이상 증상입니다.
혈압 이상 유형 증상 및 영향
고혈압 (140/90 이상) | 두통, 어지럼증, 심장 질환 위험 증가 |
저혈압 (90/60 이하) | 피로, 기립성 어지럼, 실신 가능성 |
건강한 심장을 위한 수축과 이완의 균형 유지법
수축기와 이완기의 균형을 지키려면 생활습관 관리가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저염식,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완화가 필수입니다.
특히 짠 음식을 줄이고 물을 충분히 섭취하면 혈압 조절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흡연과 음주는 심장의 전기 리듬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심증 예방엔 이렇게 먹어라! 심장이 좋아하는 식단 습관 (1) | 2025.07.28 |
---|---|
협심증 환자가 피해야 할 운동과 안전한 운동법 가이드 (2) | 2025.07.28 |
이완기 혈압 60mmHg 이하일 때, 주요 증상과 대처 방안 (0) | 2025.07.28 |
2025년 치과 임플란트 비용과 실비보험 청구 완전 정리 (1) | 2025.07.27 |
2025년 대장용종 제거 비용과 실비보험 청구 꿀팁 완전정복 (0) | 202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