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 감별부터 약물 투여, ROSC 이후 관리까지 한 번에
무맥성 심실빈맥은 심전도상에서 빠르고 규칙적인 심실 리듬이 보이지만 맥박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무맥성 전기활동(PEA, Pulseless Electrical Activity)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PEA란 ‘맥박 없는 전기활동’이라는 뜻이며, 심전도에 전기적 파형은 나타나지만 실제 심박출이 없어 혈액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런 경우 몇 분 내 심정지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심폐소생술과 약물 투여가 필요합니다.
무맥성 심실빈맥과 PEA의 관계
PEA는 전기적 활동이 있으면서도 맥박이 없는 모든 부정맥 상태를 포함합니다. 무맥성 심실빈맥은 이 중 심실 기원으로 QRS 폭이 넓고 규칙적인 빠른 리듬이 나타나는 특정 유형입니다. 일반적인 PEA는 QRS 폭이 좁거나 불규칙할 수 있지만, 무맥성 심실빈맥은 주로 심근 손상, 급성 심근경색, 전해질 이상, 심근병증 등에서 발생합니다.
심전도 감별 포인트
심전도 분석은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 단계입니다.
아래 표는 무맥성 심실빈맥과 일반 PEA의 주요 차이점입니다.
구분 | 무맥성 심실빈맥 | PEA(무맥성 전기활동, Pulseless Electrical Activity) |
QRS 폭 | 0.12초 이상 넓음 | 다양, 좁거나 넓음 가능 |
리듬 | 규칙적·빠름 | 불규칙 가능 |
맥박 | 없음 | 없음 |
맥박 확인 방법
무맥성 여부를 판단하려면 즉시 맥박을 촉진해야 하며, 표준 부위는 경동맥입니다. 대퇴동맥 확인도 가능하지만 현장에서 가장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곳은 경동맥입니다. 맥박 확인은 10초 이내로 완료해야 하며, 지연은 환자 예후를 악화시킵니다.
약물 투여 알고리즘
미국심장학회(ACLS) 알고리즘에 따르면, 무맥성 심실빈맥과 PEA 모두 첫 번째 약물은 에피네프린 1mg입니다. 정맥 또는 골내 주입을 하며, 3~5분마다 반복 투여합니다. 대체제로 바소프레신이 있으나, 실제 임상에서는 거의 모든 경우 에피네프린을 우선적으로 사용합니다. 약물 투여는 CPR과 병행되어야 하며, 절대 지연해서는 안 됩니다.
ROSC(자발순환 회복) 이후 관리
자발순환이 회복되더라도 환자가 자가호흡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즉시 인공호흡기 또는 백밸브마스크 환기를 시행해야 합니다. 산소포화도가 94% 미만이면 산소를 공급하여 목표 범위인 94~99%를 유지합니다. 과산소증은 뇌 손상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저혈압, 저체온, 저혈당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시 적극적으로 교정합니다.
산소·환기 관리의 중요성
ROSC 후 산소 관리에서 중요한 것은 저산소증 예방과 과산소증 회피입니다. 저산소증은 심정지 재발 가능성을 높이고, 과산소증은 뇌와 심장 조직 손상을 가속할 수 있으므로, 환자 상태에 맞춘 세심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현장 대응의 핵심 전략
응급 현장에서는 심전도 판독, 맥박 확인, 제세동 여부 판단, 약물 투여가 거의 동시에 이뤄져야 합니다. 팀 단위 훈련과 반복 시뮬레이션은 실제 상황에서 반응 속도를 높여 생존율 향상에 기여합니다. 특히 무맥성 심실빈맥은 제세동 대상 리듬이지만, PEA의 다른 형태는 제세동 적응증이 아니므로 심전도 감별이 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