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초보라면 꼭 알아야 할 3가지 핵심 지표: ROE, PER, PBR
주식 투자에 입문하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용어가 바로 ROE, PER, PBR입니다.
증권사 리포트나 포털 주식정보 창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
이 세 가지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기업의 수익성, 가치, 투자 매력도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예요.
이번 글에서는 ROE, PER, PBR의 뜻과 의미, 그리고 투자 판단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ROE란?
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이익률
뜻:
ROE는 주주가 투자한 자기자본 대비 얼마만큼의 순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예요.
계산식: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 100
예시:
자기자본 100억 원, 순이익 10억 원 → ROE = 10%
의미:
ROE가 높을수록 회사가 자본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수익을 잘 낸다는 뜻이며,
일반적으로 10% 이상이면 우량, 15% 이상이면 고ROE 기업으로 평가되기도 합니다.
PER란?
Price Earnings Ratio = 주가수익비율
뜻:
PER은 현재 주가가 기업의 1년 순이익 대비 몇 배 수준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식: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예시:
주가가 5만 원, EPS가 5천 원이라면 → PER = 10배
의미:
PER이 낮을수록 이익 대비 주가가 저렴하다는 뜻,
PER이 높을수록 성장 기대가 반영된 고평가 상태일 수 있어요.
| 구분 | 해석 |
| PER 낮음 | 저평가 or 성장 둔화 우려 |
| PER 높음 | 고평가 or 성장 기대 반영 |
PBR란?
Price Book-value Ratio = 주가순자산비율
뜻:
PBR은 현재 주가가 회사의 순자산(자기자본) 대비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예요.
계산식:
PBR = 주가 ÷ 주당순자산(BPS)
예시:
주가가 3만 원, BPS가 1만5천 원이면 → PBR = 2배
의미:
PBR이 1보다 낮으면 자산 가치보다 낮은 가격,
1보다 높으면 자산 대비 고평가라는 해석이 가능해요.
ROE, PER, PBR의 관계는?
이 세 가지 지표는 서로 연결되어 기업 가치를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히 PER과 PBR을 함께 보면 ROE 흐름도 파악할 수 있어요.
공식 관계:
ROE = (PBR ÷ PER) × 100
즉,
같은 PER이라면 PBR이 높을수록 ROE도 높고,
같은 PBR이라면 PER이 낮을수록 ROE는 더 높게 나타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이렇게 활용해보세요
| 지표 | 의미 | 투자 시 고려 포인트 |
| ROE | 수익성 | 높을수록 주주가치 ↑ |
| PER | 수익 대비 주가 | 낮으면 저평가 가능성 |
| PBR | 자산 대비 주가 | 1 이하 = 자산 대비 저평가 |
ROE, PER, PBR은 단순 숫자 그 이상으로
기업의 내실과 투자 매력, 향후 성장성까지 판단할 수 있는 기본적인 도구입니다.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꾸준히 이 3가지 지표만 체크해도 투자의 눈이 달라질 수 있어요.
2025.11.24 - [경제] - 업비트 거래은행 어디? 입출금 가능한 은행 정보 한눈에 보기
2025.11.24 - [경제] - 업비트 출금방법 완전정복! 원화·코인 모두 쉽게 따라하기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주식 ROE의 뜻, 한눈에 쉽게 이해하기 (0) | 2025.11.26 |
|---|---|
| 업비트 거래은행 어디? 입출금 가능한 은행 정보 한눈에 보기 (0) | 2025.11.24 |
| 빗썸 입금방법 완전정리: 원화·코인 입금 한 번에 마스터하기 (0) | 2025.11.24 |
| 업비트 출금방법 완전정복! 원화·코인 모두 쉽게 따라하기 (0) | 2025.11.24 |
| 업비트 입금방법 완전정리, 초보자도 5분이면 가능해요! (0) | 2025.11.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