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 헷갈리면 안 되는 이유

by jinjjaroo1 2025. 8. 15.
반응형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 헷갈리면 안 되는 이유

두 숫자가 말해주는 심장 건강의 경고 신호는 무엇일까?

혈압을 측정하면 항상 두 개의 숫자가 표시됩니다.
바로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인데요, 이 두 수치는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지며
심장과 혈관 상태를 파악하는 핵심 지표로 작용합니다.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을 헷갈리거나 하나만 중요하게 여긴다면
고혈압의 조기 발견과 관리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혈압 수치의 정확한 차이, 각각이 의미하는 위험신호,
그리고 어떤 경우에 더 주의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 정확한 의미

수축기혈압은 심장이 수축해 혈액을 내보낼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입니다.
반면, 이완기혈압은 심장이 이완 상태일 때 혈관에 남아 있는 최소 압력입니다.
즉, 수축기혈압은 "심장이 뛰는 순간", 이완기혈압은 "심장이 쉴 때"를 의미합니다.


고혈압 진단 기준은 이렇게 다릅니다

분류 수축기혈압(mmHg) 이완기혈압(mmHg)
정상 120 미만 80 미만
고혈압 전단계 120~129 80~89
1기 고혈압 130~139 80~89
2기 고혈압 140 이상 90 이상

수축기와 이완기 중 하나라도 기준치를 초과하면 고혈압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수축기혈압이 높은 경우 주의할 점

특히 60세 이상 중장년층에서 수축기혈압이 140mmHg를 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혈관의 탄력이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이며,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위험과 직결될 수 있습니다.
"높은 수축기혈압은 심장의 무리를 의미한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이완기혈압이 높은 경우의 위험

이완기혈압이 지속적으로 90mmHg 이상일 경우,
혈관이 휴식하는 시간에도 압력이 높아지는 것이기 때문에
심장이나 신장에 장기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젊은 층에서 특히 주의해야 하는 수치입니다.


어떤 수치를 더 중요하게 봐야 할까?

나이에 따라 주의해야 할 수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연령대 더 주의해야 할 수치
40대 이하 이완기혈압
50대 이상 수축기혈압

즉, 젊을수록 이완기혈압, 나이가 많을수록 수축기혈압에 주목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 수치 모두 관리해야 하는 이유

수축기만 낮고 이완기가 높다면? 또는 그 반대라면?
둘 중 하나만 정상이라도 고혈압 진단은 가능하며,
심혈관 질환의 위험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따라서 혈압은 반드시 "두 수치 모두"를 보고 판단해야 합니다.


혈압 측정 시 자주 하는 실수

혈압 측정 전 카페인을 섭취하거나, 긴장한 상태에서 측정하면
수치가 일시적으로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또한 집에서 측정할 경우, 2~3회 반복 측정 후 평균값을 확인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혈압 관리 위한 실천 팁

실천 항목 기대 효과
저염식 식단 혈압 상승 억제
규칙적인 운동 혈관 탄력 강화
충분한 수면 혈압 변동성 감소
금연, 절주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

작은 습관 하나하나가 수축기·이완기 혈압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 중요합니다.

 

 

 

반응형